Switch, Bridge
<aside>
<img src="/icons/bounce_red.svg" alt="/icons/bounce_red.svg" width="40px" />
설명

</aside>
동작 방식
<aside>
<img src="/icons/mop-and-bucket_orange.svg" alt="/icons/mop-and-bucket_orange.svg" width="40px" />
설명
-
총 5가지 동작으로 구분
- Learning
- Flooding
- Forwarding
- Filtering
- Aging

-
Learning
- 자신의 포트에 연결된 “A”라는 pc가 통신을 위해서 프레임을 내보내면 그때 이 PC의 맥 어드레스를 읽어서 자신의 맥 어드레스 테이블에 저장, 그리고 나중에 어떤 PC가 "A” 에게 통신할 경우에는 자신의 브리지 테이블을 참고해서 통신 유무 결정
-
Flooding
- 들어온 포트를 제외하고 모든 포트로 뿌리는 과정
- 1111의 pc에서 3333pc와 통신을 시도할려고 하는데 맥 테이블에는 3333pc의 맥 어드레스가 적혀있지 않음 → 모든 포트로 flooding 후 3333pc에서 스위치로 reply가 와서 목적지 맥 주소를 Learning
-
Forwarding
- 스위치가 목적지의 맥 주소를 이미 알고 있어서 그대로 목적지 포트로 프레임을 전달
-
Filtering
- 필터링 기능 때문에 콜리전 도멘인을 나눌 수 있음
- 스위치가 목적지 맥주소를 알고 있어 해당 장비로만 프레임을 전달하고 나머지 포트는 필터링되어 프레임이 전송되지 않도록 기능
-
Aging
- 학습한 맥 주소를 맥 테이블에 저장한 것을 300초 동안 갖고 있고 3000초 내에 프레임이 들어오지 않는 경우 삭제
</aside>
Switch, Bridge 차이
<aside>
<img src="/icons/atm_pink.svg" alt="/icons/atm_pink.svg" width="40px" />
설명
-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switch가 우세
- 가격은 bridge가 낮음
- 동작 방식
- switch
- store-and-forwarding, cut-through 방식 제공
- bridge
- store-and-forwarding 방식만 제공
참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