동작
<aside>
👁️
순서

- master node(controlplane)
- pod 생성 요청
- 요청이 API로 전달
- ETCD에 저장 된 클러스터 상태를 꺼내 scheduler에게 전달 해 pod 생성에 적합한 node1, node2에 물어봄
- scheduler는 판단 후 다시 API에게 전달
- API는 node01에 있는 kubelet에게 요청
- node1
- kubelet은 API 요청 받은 뒤 container에게 pod에 요청한 명령어 맞는 이미지, 라벨 등을 실행 요청
- container는 image를 다운 받아 kubelet에 전달
- kubelet은 API에게 다시 전달
</aside>
Static pod
<aside>
👁️
설명
방법
- 각 node에 존재하는 kubelet을 이용
- /var/lib/config.yaml을 기반으로 kubelet daemon 동작
- /etc/kubernetes/manifests 안에 존재(기본 위치)
- static pod가 위치한 곳에 생성한 pod.yaml을 넣어줌
</aside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