Volume
volume 이론
volume container 설명

- 한 layer당 명령어 1줄, 하지만 &&로 묶은 명령어는 1줄로 취급하여 위와 같이 저장이 됌
- container layer만 read wirte, 나머지는 read only
-
- 만약 같은 파일을 수정하여 수정하면 layer에 추가가 되고 위에 있는 새로운 파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해주고 아래에 있는 수정 전 파일은 숨겨짐 *

- 컨테이너가 종료되어 데이터를 유지하는 방법은 외부 디스크 볼륨을 마운트
- 쿠버네티스에서 지원하는 볼륨은 다양한 종류가 존재, 아래에 추가 기입
EmptyDir

- pod와 동일한 lifecycle을 가지고 있는데 사용되는 용도
- 대규모 파일 기반 sorting 작업
- pod내의 컨테이너간 파일 교환
- 캐시 저장, 임시 파일 저장 등에 사용
HostPath


(node 이동으로 파일 전부 삭제)
- 그래서 쿠버네티스에서는 Persistent Volume(PV)이 존재
추가 내용
- 디스크 3종류(속도. 블록 → 네트워크 → 오브젝트)
- 블록디스크
- ex) 노트북, os 설치에 따라 변경, 읽기만 가능, ebs
- 네트워크 파일 디스크
- ex) nfs, 동시에 읽고 쓰기 가능, nfs
- 오브젝트 디스크
- ex) s3, git 저장 디스크
- append only(추가, 삭제만 가능)
- 이유
- 분산작업 유리(수정 작업 시 성능 저하), 비슷한 시간에 종료되는게 시간적으로 중요
- 분산작업을 하는데 조건이 무결성을 전제하에 동작, 그래서 파일에 history를 기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