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NS Record
<aside>
<img src="/icons/playback-previous_brown.svg" alt="/icons/playback-previous_brown.svg" width="40px" />
설명
- DNS 서버가 해당 패킷을 전송 받은 경우 어떠한 방법으로 처리할지 나타내는 지침
- DNS 상에서 도메인에 관한 설정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련의 설정 문자
종류
<aside>
<img src="/icons/fireworks_pink.svg" alt="/icons/fireworks_pink.svg" width="40px" />
A
- 도메인 주소와 서버의 IP가 직접 매핑시키는 방법

- 위 사진과 같이 도메인 tistory.com - 121.53.105.234 에 연결되어 있다라고 알려줌

CNAME
- 도메인 별명 레코드라고도 칭함, 도메인 주소를 또 다른 도메인 주소로 이중 매핑

- daum2.net을 입력 시 daum.net으로 접근되는 형식으로 CNAME record는 IP주소를 등록해서는 안됨
AAAA
-
A record의 IPv6 버젼

- A의 확장형으로 도메인에 IPv6주소가 매핑되어 있는 record
NS
- 도메인에 대한 naveserver의 권한을 누가 관리하고 있는지 알려주는 record
- ex) example.co.kr를 cafe24 업체에서 구매하여 사용 시 example.co.kr domain을 관리하는 nameserver는 cafe24가 됨
</aside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