예시
- MySQL
- 오픈 소스 RDBMS, 웹 서비스에서 많이 사용
- PostgreSQL
- 오픈 소스 RDBMS, 표준 SQL 준수 + 확장성 높음
- Oracle
- 상용 RDBMS, 대기업 금융권에서 많이 사용
- MongoDB
- Document 기반 NoSQL, JSON 저장
- Redis
- Google Bigtable
- Column-Family 기반, 시계열 데이터/로그 분석
- Google Spanner
MySQL VS PostgreSQL
- MySQL
- 단순한 CRUD, 조회 중심 워크로드에선 빠르고 관리 쉬움
- 전통적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의 DB로 자리 잡음
- 하지만 대용량 트랜잭션, 복잡한 조인/쿼리에선 제약 존재
- PostgreSQL
- 고급 쿼리(윈도우 함수, CTE, JSONB, GIS등)에서 성능 우수
- MVCC(Mutil-Vesrion Concurrency Control)로 동시 트랜잭션 처리 성능이 MySQL보다 안정적
- DB 자체에서 기능이 강력해서 애플리케이션에서 돌려야 할 계산을 DB에 위임하기 좋은 구조
확장성과 대용량 트래픽
- MySQL도 수평 확장을 통해 대용량 트래픽 처리가 가능하지만 직접 관리해야 할 부분이 많음
- PostgreSQL은 확장성 + 표준 SQL + 강력한 기능 덕분에 금융권, 데이터 분석 플랫폼, 대규모 SaaS 같은 곳에서 자주 사용
- 특히 JSONB, Foreign Data Wrapper(FDW)로 NoSQL과 RDB 기능을 동시에 활용 가능
결론
- 대용량 트래픽 처리 → PostgreSQL이 더 적합한 경우가 많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