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tatic pod란?

방법.

  1. 각 node에 존재하는 kubelet을 이용

  2. /var/lib/config.yaml을 기반으로 해서 kubelet daemon 동작

  3. config.yaml안에 static pod 위치가 존재

    → 기본 위치 ⇒ /etc/kubernetes/manifests 안에 존재

  4. static pod가 위치한 곳에 pod.yaml를 넣어줌.

즉 static pod 파일 위치에 pod.yaml를 생성해주면 kubelet이 pod를 동작시킴.

Untitled


답안

  1. kubectl run web —image=nginx —dry-run=client -o yaml ⇒ 명령어 실행 후 나온 결과 복사

Untitled

  1. ssh hk8s-w1 ⇒ hk8s-w1의 node에 만들라고 했으니 접속
  2. sudo -i ⇒ 계속 관리자로 명령 실행하기 위함.
  3. cat /var/lib/kubelet/config.yaml ⇒ kubelet daemon이 사용하는 confing.yaml 확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