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luster ip에 해당하는 ip와 service name와 pod ip에 해당하는 이름을 갖고 서비스하는게 coreDNS

시험에서 요구하는 것

⇒ 1. service, deploy, pod 등등 생성

⇒ 2. 임의의 test를 하기 위한 busybox 컨테이너를 만들어 접속해 service에 대한 DNS질의, POD에 대

     한 DNS질의를 하고 그 결과를 특정 파일에다가 저장을 하라.

Untitled

1번 작업

  1. nginx pod를 생성 ⇒ ip address 생성이 되고 이것을 expose를 nignx-resolver-service(service)에다가 해줘야함
  2. service 하나 생성 ⇒ 그러면 cluster ip가 생기는데 이거의 endpoint는 nignx pod의 ip와 동일한 서비스가 하나가 생김.

2번 작업 ⇒ DNS에 대해 잘 알고 있는지 질문

⇒ look up이 되는 service와 pod를 대해서 test를 진행, 그런데 그때 busybox:1.28를 갖고 있는 pod를 이용하여 lookup을 실행하고 그 결과는 service는 /tmp/nginx.svc에다가 pod는 /tmp/nginx.pod에다가 저장

!! nslookup 명령어는 resulting 서비스를 할 때 사용하는 명령


Pod 생성, pod를 expose해서 service 생성

  1. kubectl config use-context k8s
  2. kubectl run nignx-resolver —image=nginx
  3. kubectl expose pod nginx-resolver —name=nginx-resolver-service —port 80 —target-port=80

⇒ expose 명령어 : pod, deploy,rs 등을 설정 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외부로 노출시키는 service가 생성이 된다. 그래서 port와 targetport는 서로 동일해야되며 seletor의 부분도 앞에 기입한 pod, deploy 등의 명칭과 동일 해야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