설명
종류
FTP 모드

실습
vsftpd 설치
dnf install vsftpd
ftp 시작
systemctl start vsftpd
systemctl enable vsftpd
cmd 접속
cmd
---
ftp 192.168.80.110(ftp 설치 ip)

anonymous ftp 설정
vi vsftpd.conf
anonymous_enable=NO -> YES
local_enable=YES -> NO
cmd login

로그인 성공

로그인 실패
파일 get
get a

파일 put
vi /etc/vsftpd/vsftpd.conf
작성
----
anon_upload_enable=YES // 주석제거
allow_writeable_chroot=YES // 추가
systemctl restart vsftpd
---
cmd 접속
--------
cd put
put .packettracer // 현 ftp 접속 호스트에 있는 파일

Local 사용자에게 chroot 적용
vi /etc/vsftpd/vsftpd.conf
작성
---
anonymous_enable=YES -> NO
local_enable=NO -> YES
chroot_local_user=YES // 주석 제거
chroot_list_enable=YES // 주석 제거
chroot_list_file=/etc/vsftpd/chroot_list // 주석 제거
allow_writealbe-chroot=YES // 추가, 이미지 7.에서 추가한 내용
---
cd /etc/vsftpd
touch chroot_list
echo "admin" > chroot_list
cmd 접속
pwd

PASSIVE 모드일 경우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접속할 포트를 알려줌, 알려주는 포트는 랜덤포트이기 때문에 방화벽에 포트를 특정할 수 없음
VSFTPD 서버 설정에서 PASSIVE 모드로 동작할 경우 사용할 포트를 지정할 수 있음
vi /etc/vsftpd/vsftpd.conf
작성
---
pasv_min_port=50001 192,168,80,110,195,81(나누기 50000)
pasv_max_port=50002 192,168,80,110,195,82
설명
리눅스, 유닉스끼리 파일 공유
network file system의 약자로,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시스템의 디스크를 연결하여 사용
이를 위해 nfs 서버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, nfs 서버 측에서 디스크를 공유해야 함

다른 시스템에서 공유한 디스크를 디렉터리 계층 구조에 마운트하면 됌
실습
설치 확인
rpm -qa | grep nfs-utils
서버 설정
cd /var
mkdir nfs-share
chmod 707 nfs-share
vi /etc/exports
작성
----
/var/nfs-share 192.168.80.0/24(rw)
exportfs -a
systemctl start nfs-server

클라이언트 설정
su -
mount -t nfs 192.168.80.110:/var/nfs-share /mnt/mp1
nfs 연결 확인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