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p
* IP주소 설정
ip addr add 192.168.80.100/24 dev ens192
* 디폴트 루트 추가
ip route add default via 192.168.80.2 dev ens192
* 인터페이스 활성화/비활성화
ip link set ens192 up/down
nmcli
* 네트워크 확인
nmcli con show
* 주소 변경
nmcli con modify ens160 ipv4.address 192.168.30.150/24
ipv4.gateway 192.168.30.253 ipv4.dns 8.8.8.8
=> 위 ip와 다르게 영구적 변경
* 변경 적용
nmcli con up ens192
* ens192 삭제
nmcli con del ens192
* 주소 추가
nmcli con add con-name ens160 ifname ens192 type ethernet ipv4.address
192.168.30.150/24 ipv4.gateway 192.168.30.253 ipv4.dns 8.8.8.8
nmcli로 ip 추가

nmcli로 ip 수정 후 적용

clear : 화면 내용 삭제
pwd : 현재 위치를 절대경로로 출력
cd : 디렉토리 변경
ls : 파일목록 출력
mkdir : 디렉토리 생성
rmdir : 빈 디렉토리 삭제
touch : 빈 파일 생성
rm : 파일 및 디렉토리 삭제
ctrl + c : 현재 작업 중단 및 취소
ctrl + z : 현재 작업 멈춤
cp : 파일/디렉토리 복사
mv : 파일/디렉토리 이동 또는 파일/디렉토리명 변경
ln : 링크파일 생성
- 하드링크 : 파일이 2개 있을 때 한개를 지워도 나머지 한개는 그대로 존재
- 소프트링크 : 원본 파일을 지우면 소프트링크 파일은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음
cat : 텍스트파일 출력 또는 작성
- cat > test.txt : 파일 안 텍스트 작성, 내용 안에 존재 시 덮어씀
- cat >> test.txx : 파일 안 텍스트 작성, 내용 안에 존재 시 추가
grep : 텍스트파일 또는 출력 결과물에서 패턴 검색
find : 디렉토리 옵션 패턴 - 시스템 내 파일 검색
tail : 파일 내용의 마지막 부분 출력
ps : 프로세스 확인 명령
kill : 프로세스에 시그널 전달 명령
netstat : 네트워크 상태 출력
명령 모드
hjkl : 커서입력
i,I,a,A,o,O : 입력 전환
x : 한글자 삭제
dd : 한 라인 삭제 => 숫자로 시작하면 해당 숫자의 행만큼 삭제(5dd)
yy : 한 라인 복사 => 숫자로 시작하면 해당 숫자의 행만큼 복사(5yy)
p : 현재 커서 아래로 붙여넣기
P : 현재 커서 위로 붙여넣기
J : 현재 커서 라인과 아래 라인 합치기 => 숫자로 시작하면 해당 숫자의 행만큼 합치기
cw : 단어 삭제 후 입력 모드
dw : 단어 삭제
행번호G : 해당 행으로 이동
G : 문서의 마지막행으로 이동
gg : 문서의 첫 행으로 이동
^ 또는 0 : 라인의 처음으로 이동
$ : 라인의 마지막으로 이동
r : 한글자 치환
L : 화면의 마지막행으로 이동
u : 직전 입력내용 취소
U : 해당 라인의 입력내용 취소
ZZ : 저장 후 종료
입력 모드
i,I,a,A,o,O : 입력모드 전환
라스트 라인 모드
명령 모드에서 /, ? 입력 시 전환
/, ? : 패턴 검색
/패턴 : 아래로 찾기
?패턴 : 위로 찾기
:%s/end/END/gc : 문서 전체에서 end 단어를 END로 치환. g옵션은 행의 모든 end 치환.
%는 1,$와 같은 의미. c는 바꾸기 전에 확인
:w : 저장
:w : 저장 후 종료
:e 파일명 : 해당 파일 열기
:set nu : 행 번호 보이기
:set ts=4 : 탭 키 시 4칸씩 이동
:ab s set : s입력 후 스페이스바 누르면 set이 입력
=> 환경 설정은 vi 종료 시 해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