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.2
error detection, correction
<aside>
<img src="/icons/expand_blue.svg" alt="/icons/expand_blue.svg" width="40px" />
Error detection
+에러 감지에 CRC도 존재한다는 것만 인지
</aside>
6.3
multiple access protocols
<aside>
<img src="/icons/mandir_yellow.svg" alt="/icons/mandir_yellow.svg" width="40px" />
Multiple access links, protocol
- point-to-point
- Ethernet 스위치와 호스트 간의 점대점 연결
- Broadcast
- old-fashioned Ethernet
- upstream HFC
- 802.11 wireless LAN
Multiple access protocols(간섭 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토콜)
- 단일 공유 브로드캐스트 채널
- 단일 노드에 의해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전송 발생 → 간섭
- Collision : 노드가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신호를 수신할 때 발생
- multiple access protocol(다중 접속 프로토콜)
- “위 문제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”
- 노드가 언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을지 결정하여 문제 해결
- out-of-band channle - 별도의 채널 사용하지 않음
</aside>
<aside>
<img src="/icons/timeline_lightgray.svg" alt="/icons/timeline_lightgray.svg" width="40px" />
multiple access protocol
- Channel partitioning
- 채널을 작은 단위로 나눠 각 노드들이 독점적으로 할당
- CDMA/TDMA/FDMA 등
- Random access
- 채널을 노드들이 공유하며,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시도
- ALOHA(Pure ALOHA, Slotted ALOHA)
- CSMA
- Taking turns
- 노드들이 순서대로 채널을 사용하는 방식
</aside>
Channel partitioning
<aside>
<img src="/icons/wheelchair_purple.svg" alt="/icons/wheelchair_purple.svg" width="40px" />
설명
- TDMA
-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
- FDMA
- CDMA
Random access protocols
<aside>
<img src="/icons/badge_gray.svg" alt="/icons/badge_gray.svg" width="40px" />
설명
- 2개 이상의 노드가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 발생
- Random Access MAC protocol은 다음을 명시:
- 충돌을 어떻게 감지할지
- 충돌 발생 후 복구 방법(재전송)
- 종류
- Pure(unslotted)ALOHA
- Slotted ALOHA
- CSMA, CSMA/CD(유), CSMA/CA(무)
Pure ALOHA
- Sloatted ALOHA보다 단순한 구조
- 동기화 필요 없음
- 충돌 확률
Slotted ALOHA
- 슬롯을 나눠 동기화하여 전송하는 방식
- 동작 방식

CSMA
<aside>
<img src="/icons/wheelchair_purple.svg" alt="/icons/wheelchair_purple.svg" width="40px" />
</aside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