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IP
<aside>
🎩
설명
- intradomain routing protocol
- Distance-vector routing 알고리즘 기반
- Hop으로 최소 비용 계산
Hop count in RIP

</aside>
OSPF
<aside>
<img src="/icons/soy_blue.svg" alt="/icons/soy_blue.svg" width="40px" />
설명
- intradomain routing protocol
- Link-state routing 알고리즘 기반
- open-protocol
Metric in OSPF

</aside>
BGP
<aside>
<img src="/icons/alien_gray.svg" alt="/icons/alien_gray.svg" width="40px" />
설명
- 유일 interdomain routing protocol
- Path-vector 알고리즘 기반
- BGP 종류
- External BGP(AS와 AS 간 통신)
- Internal BGP(AS 내 라우팅 정보를 주기 위함)
BGP operation 구조
eBGP operation

- eBGP는 AS간 border 라우터로 자신의 AS 정보를 모두 갖고있음
- Next는 패킷이 특정 네트워크에 도달하려면 거쳐야 되는 다음 라우터를 의미
- EX) Border router - R1
- N1, N2, N3, N4 - R1 - AS1
Combination of eBGP and iBGP

- N8, N9 → Next: R1
- 이 네트워크(N8, N9)에 데이터를 보내려면 R1로 먼저 전달해야 합니다.
- R1은 AS1과 AS2 사이의 eBGP 경계 라우터입니다.
2. N13, N14, N15 → Next: R4
- 이 네트워크(N13, N14, N15)에 데이터를 보내려면 R4로 전달해야 합니다.
- R4는 AS1과 AS4 사이의 eBGP 경계 라우터입니다.
3. N10, N11, N12 → Next: R2
- 이 네트워크(N10, N11, N12)에 데이터를 보내려면 R2를 경유해야 합니다.
- R2는 AS1 내부의 iBGP를 통해 다른 라우터와 정보를 교환합니다.
- N1, N2, N3, N4 → Next: R6
- 이 네트워크(N1, N2, N3, N4)에 데이터를 보내려면 R6를 통해 전달해야 합니다.
- R6는 AS3 내부의 iBGP를 통해 정보를 공유하며, eBGP로 AS1과 연결되어 있습니다.
</aside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