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1주차에 이어서 Routing Protocol………….
Unicast Routing Algorithm
<aside>
🌘
계층도

</aside>
Routing Algorithm
<aside>
🌌
라우팅 알고리즘
- 출발지 라우터와 목적지 라우터간의 최소 비용 경로 찾기
Least-cost routing
- 출발지에서 목적지 라우터까지 모든 경로상의 링크 비용 중 최소값의 경로
Policy-based routing
- 패킷의 경로에 특정 정책을 적용
- ex) 어떤 Port는 해당 대역폭으로 전송|
라우팅 알고리즘 종류
- 거리 벡터 라우팅 알고리즘(Distance Vector Routing Algorithm)
- 링크 상태 라우팅 알고리즘(Link State Routing Algorithm)
- Path-vector Routing Algoirithm
⇒ 경로를 계산하는 구체적인 수학적 방법
</aside>
Distance-vector routing algorithm
<aside>
📀
설명
-
최소비용 트리 사용
-
벨만-포드 방정식


- 합해서 최소 값을 찾아서 계속 갱신
- 위 방식처럼 자신의 이웃 라우터로부터 정보를 받아 최단 경로를 계산
-
Distance-vector

-
Count to infinity
- 무한대로 카운트되는 문제
- Two node loop 문제
- 노드 2개가 계속 루프되는 현상
- 해결법
- Split horizon
- 각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 테이블의 일부만 전송
- 거리 벡터 프로토콜의 타이머 때문에 소식이 없으면 테이블에서 경로 삭제 문제 존재
- Poisoned reverse
</aside>
Link State Routing algorithm
<aside>
🎙️
설명
- 최단 경로 우선 알고리즘
- 최단 경로 결정을 위해 Topology Map 작성
- LBSB(Link-state database)
- 장점
LSDB

LSP(Link State Packet)전송
LSP 플러딩
최소비용 트리 사용
- Dijkstra algorithm 사용
</aside>
Path-vector routing algorithm
<aside>
👜
</aside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