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Pv4 Address
<aside>
🥏
Address space

- Prefix
- Suffix
- network에 붙은 단말기 - 호스트
</aside>
<aside>
🪄
Classful Addressing

- A,B,C,D,E 클래스 별로 나눈 방식
</aside>
<aside>
🌜
Class C of classful addressing

- C Class 부분만 Suffix(호스트) 제공
- 최대 254개
-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
</aside>
<aside>
🎴
Problems of Classful Addressing
- Address depletion(주소 부족 문제)으로 인해 여러 가지 해결법 탄생
- Subnetting과 Supernetting 등장
Subnetting
Supernetting
- 작은 C class를 여러 개를 붙여 사용
</aside>
<aside>
🧿
Classless Addressing

- 더 큰 주소 공간이 필요함에 따라 단기 해결책를 Classless Addressing이라 부름
- 사진과 같이 Block으로 나눔

- Prefix와 Suffix로 나눠서 Suffix를 지정해줘 호스트 수를 지정
예시

- 27부분은 Prefix, 나머지 5부분은 surffix으로 2^5으로 32개의 호스트 가짐
- 그리고 마지막 8비트의 처음 주소 부분은 01000000으로 64가 되고, 마지막 주소 부분은 01011111으로 95로 변하는 것을 확인 가능
-
예시

- /20이면 0000 00000000이고 최대는 1111 11111111이니 15.255로 16 → 31로 최대
</aside>
Network layer protocols
<aside>
🌈

- IPv4
- ICMPv4
- IGMP
- ARP
- Routing Protocol
</aside>
Internet Protocol
<aside>
📸
IP헤더 구조

- Type-Of-Service(TOS)
- 총 8비트를 나눠가지고 우선권을 제공해주기 위한 bits
- 3bit - 우선권 필드
- 4bit - TOS 필드
- 1BITS - 사용되지 않음(값은 0)
- Fragementation/reassembly
- 16-bit identifier
- Flags
- Fragment Offset
- 조각들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데이터그램 재조립 지원
- TTL
- upper layer
- Checksum
</aside>
ICMPv4
<aside>
🪗
</aside>
ARP