5.2
routing protocols
<aside>
👠
Routing algorithm classification
- Global routing
- 모든 라우터가 전체 토폴로지 및 링크 비용 정보를 공유
- link state 알고리즘 사용
- Distributed Routing
- 라우터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이웃 및 이웃에 대한 링크 비용만 알고 있음
- distance vector 알고리즘 사용
- Static
- Dynamic
- 경로가 더 빠르게 변화
- 주기적인 업데이트 수행
</aside>
link state
<aside>
🏓
Dijkstra’s Algorithm
- 네트워크 토폴로지와 링크 비용이 모든 노드에 알려져 있음
- 링크 상태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이루어짐
- 모든 노드가 동일한 정보를 가짐
- 한 노드에서 모든 다른 노드까지의 최소 비용 경로 계산
예시


</aside>
distance vector
<aside>
🥌
Bellman-Ford(BF) equation
Bellman-Ford 예시


</aside>
5.3
intra-AS routing in the Internet: OSPF
<aside>
🥌
Internet approach to scalable routing(인터넷의 확장 가능한 라우팅 접근법)
- 라우터를 AS또는 도메인이라고 불리는 영역으로 묶음
Inter-AS
- 동일한 AS내에서 호스트와 라우터 간 라우팅
- AS 내의 모든 라우터는 동일한 Intra-Domain 프로토콜을 사용해야함
- 다른 AS에 있는 라우터는 서로 다른 Intra-Domain 라우팅 프로토콜 사용 가능
Inter-AS
<aside>
🥌
Interconnected ASec

- AS1기준
- 1a~1d intra-AS
- 2a ~ 3a inter-AS
</aside>
<aside>
🎇
Intra-AS Routing
- interior gateway protocols(IGP)라 칭함
- 종류
- RIP
- OSPF(IS-IS, OSPF랑 동일한 기능)
- IGRP
</aside>
<aside>
🚜
OSPF(Open Shortest Path First)
- open,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
- link-state 알고리즘 사용
- 링크 상태 패킷 전파
- 각 노드에서 토폴로지 맵 생성
-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사용하여 경로 계산
- flood 방식으로 전체 AS에 전달
</aside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