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aside>
<img src="/icons/customs_blue.svg" alt="/icons/customs_blue.svg" width="40px" />
Network
- 통신 분야에서 단말기기, 선로 및 교환 등으로 구성되는 전송 매체
- 전송 방식으로 CBN vs PBN 존재
CBN vs PBN
- CBN
- ex) 전화망
- connection-oriented service
- 자원점유방식
- QoS(Quality of service) 보장
- SS7
- PBN
- ex) Internet
- connection-less service
- 자원공유방식
- QoS 보장 X
- Best-effort service를 기반
Protocol
OSI 7 Layer
Application Layer
-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layer → 사용자의 편의성 제공
- 사용자 ID
Presentation Layer
- display에 중점을 둠
- coding, decoding 기능
- 압축, 암호화
Session Layer
- 사용자 구분, 누구와 통신 할 것인지
- Session ID를 사용해서 구분
- 유일성, 하지만 해당 application에서만 범위를 갖고 있음
- ex) e-mail address, phone number, url 등
- 5 tuple이 동일 시 같은 세션이라고 판단
- port - source, destination
- IP - source, destination
- Protocol
Transport Layer
- Port에 따라서 어떻게 전송 할 것인지
- Port number
- 0 ~ 1023 : well-known port. 표준화되어 있는 포트
- 1024 ~ 49151 : registered port. 상업적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회사들이 등록하는 포트
- 49152 ~ 65535 : dynamic port.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즉흥적으로 할당하여 사용 가능한 포트
- UDP vs TCP
- UDP : TCP대비 프로토콜 간결, 가볍고 빠름, QoS 보장 X → 신뢰성이 낮음
- TCP : UDP 대비 프로토콜 복잡, 무겁고 느림, QoS 일부분 보장 → 신뢰성이 높음
Network Layer
Data-link Layer
- 데이터 전송에 목적
- hop-by-hop
- LLC(Logical Link Control)
- 네트워크 계층과의 인터페이스, 다중화, 흐름제어, 오류 검출
- MAC
- MAC address는 NIC에 지정되어 나옴
- shared meduim의 특성에 따라 MAC 주소 필요
Physical Layer
OSI 7계층 예시
카카오톡 실행
- 휴대폰 제조 - L1, L2
- 휴대폰 개통 - L3
- 연락처 연동 - Session ID
- 카카오톡 회원가입 - L5
- 카카오톡 다운, 설치 - L4, L6
- 카카오톡 실행 - L7
문자 전송
- 카카오톡 실행 - L7
- 주소록에서 대상 찾기 - L5
- 대화창 실행 - L4
- 문자 전송
- L6 encoding
- L5 Session ID로 L3 IP 획득 - DNS
- L4 header encapsulation → L3 header encapsulation
- 단말기, 기지국 MAC addr로 L2 header 생성
- 비트 모듈레이션을 사용해서 물리적 신호를 기지국으로 패킷 전송 - L1
</aside>